인문미래연구소
대한제국 시기 학회지에 나타난 흥학 개념의 변화와 과학 담론의 영향 본문
본고는 대한제국기 학회지에 수록된 관련 글들을 통하여 ‘흥학’의 본질적인 지향과개념 변화 양상을 추적하고,변화한 ‘흥학’ 개념에 반영된 근대적 담론 체계는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대한제국기 학회지들을 살펴볼 때 흥학은 대한제국의‘식산’의 부흥과 ‘부국’ 진입의 기초로 강조되고 있다.이는 ‘흥학’=서구 열강의 ‘근대교육’이라는 등식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이 지점에서 ‘흥학’이라는 용어는 근대 교육을흥하게 하는 것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한편 이와 같은 학문 진흥과 근대 교육은 구체적인 실천 덕목으로 ‘부국’과 ‘자강’을 전제로 한 ‘실용’에 초점이맞추어 졌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학’ 역시 실용으로 연결되게 되는데,이 과정에서‘과학’이라는 개념에 실증과 관련된 본질적인 조건은 생략되고 실용만이 강조되는 논리적인 비약이 발견된다.
문제는 당대 대한제국의 교육체제가 이러한 흥학의 움직임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점에 있다.근대 교육을 통한 단계적이고 보편적인 발전이 불가능한상황 속에서 흥학의 개념은 점차 실용으로 축소되고 만다.그렇다면 이때 흥학이 꿈꾸었던 근대 국가는 실용만으로 성취될 수 있는가.흥학이 바라던 이상과는 다르게 실용으로 축소된 흥학으로는 국민의 계몽에도 과학 기술 발전을 통한 부강함에도 다다를수 없다.결국 대한제국시기 지식인들이 급하게 꿈꾸었던 근대 국가의 모습은 제한된흥학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이상으로만 남게 되는 것이다.
'학술성과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 초기 위생 담론에 투영된 왜곡된 국민 개념과 감성적 민족 주체 - 국권상실 이전 시기 학술지와 협회지를 중심으로 (0) | 2022.12.26 |
---|---|
근대 초기 한국과 베트남의 과학 담론 수용 양상과 대비적 특질 - 학술지와 잡지 수록 글들을 중심으로 (0) | 2022.12.26 |
식민지시기 한국과 베트남의 대중종합잡지의 특성 연구 -『삼천리』와 『남풍』의 비교를 중심으로- (0) | 2022.01.06 |
일제강점기 대중잡지 『삼천리』를 통해 본 검열의 흐름과 매체의 생존 전략 (0) | 2022.01.06 |
조해일 장편소설 『겨울여자』의 개작 방향과검열 우회의 의미 (0) | 2022.01.06 |